왼도우즈에서는 system properties 에서 advanced 탭에서 environment variables 로 새로운 변수를 만들거나 변경 삭제할 수 있음.


윈도우 환경 텔넷 설치

검색-appwiz.cpl- turn windows features on or off 선택 - Telnet Client 체크 - OK


명령프롬프트에서 telnet 입력해서 텔넷에 접속. -> ? 쓰면 여러 명령 볼 수 있음. -> quit 로 텔넷을 빠져나옴

동시에 vmware의 우분투에서는 ifconfig 로 자기 IP를 확인하고 윈도우 명령프롬프트에서 ping 127.0~~~(내아이피) 아이피로 잘 가는지 확인.


우분투에서 항상 현재정보와 맞춰주기 위해서(?) 캐쉬를 업데이트 해줘야함. sudo apt-get update 후 sudo apt-get install xinetd telnetd 엔터. 뒤에 d는 demon ..

-> sudo gedit /etc/inetd.conf

메모장이 열리면 다음을 작성해줌. 

telnet stream tcp nowait telnetd /usr/sbin/tcpd /usr/sbin/in.telnetd

-> 저장 후 cd /etc로 들어가줌 -> sudo gedit xinetd.conf 들어가면 막 뭐라고 쓰여있음. 거기서

# log_type = SYSLOG daemon info 밑에

다음을 작성해줌

instances = 60

log_type = SYSLOG authpriv

log_on_success = HOST PID

log_on_failure = HOST

cps = 25 30

저장 후 나옴 ->  cd /etc  위치에서  gedit /etc/services 로 들어가면 사용하는 포트번호(?)를 볼 수 있음 telnet은 23번 확인 가능.

-> 거기서 cd xinetd.d 로 들어가서 무엇이 있나 ls 로 확인. -> sudo gedit telnet 로 텔넷파일을 하나 만들어줌.

-> 다음을 작성해줌

service telnet

{

disable = no

flags = REUSE

socket_type = stream

wait = no

user = root

server = /usr/sbin/in/telnetd

log_on_failure +=USERID

}

저장 후 나옴.



        disable = no 는 가능하지 않은 것을 안되게 하겠다. 

wait = no 기다리는 것을 안하겠다.

user = root 권한 사용.



-> 그리고 sudo /etc/init.d/xinetd restart 엔터. 서비스 중지후 다시 시작 되는 것을 볼 수 있다.

-> telnet localhost   : 나에게 연결하니 -> 이름하고 passwaord 치면 됨. -> 접속된 거임. 거기서 logout치면 다시 원래의 위치로 올 수 있음... 

-> 내가 내걸로 들어가서 실감이 안나니.. 터미널 하나 더 띄어서 telnet -> open 127.0~~~  :(이것은 내 아이피임) -> 아이디 비번 쳐서 들어가면 접속 완료.


윈도우 명령 프롬프트 실행해서 확인 해보자

명령프롬프트에서 telnet 127.0.~~쳐보면 접속할 수 없다. -> 왜냐하면 파이월로 막혀있기 때문

->그러면 우분투에서 firewall을 열어 -> rules 클릭 -> +버튼 클릭 -> preconfigured탭에서 category를 network로 subcategory를 all, application name을 telnet  선택해서 

-> 다음 눌러주고 add눌러서 close -> 그리고 telnet 127.0.0.1 써서 접속함.

-> 아이디 비번을 쓰면 접속됨. 완료..... 복사 등등 기능을 사용할 수 있지만 그래픽관련된 건 안됨

-> sudo reboot 명령어로 우분투가 재부팅 되는 것까지 볼 수 있다.


그러나 텔넷은 보안등등의 이유로 잘 사용안됨. 



우리는 SSH(secure shell)한다. 

http://kldp.net/projects/iputty/download  홈피로 이동 - >   HangulPuTTY-0.60h.setup.exe  눌러 다운 -> 다음다음 눌러 설치 완료

우분투 켜서 터미널에서 -> sudo apt-get install openssh-server  해서 깔아줌

-> sudo apt-get install openssh-client  해서 깔아줌(내가 테스트 해보기위해 다 깔아주는 거임)

-> service ssh restart 해서 ssh 열어주고. ->ssh mino@localhost (자기아이디@~~임) : 자기아이디@자기컴퓨터이름 이렇게 써줘도 됨

-> yes 해주고 비번 써주고 하면 자기 아이디로 자기가 로그인 한거임

-> logout으로 로그아웃 해줌.


윈도우즈 환경에서 다운받은 putty 를 실행시켜서 host name 을 써주고 열기를 눌러줌. -> 계속 검은화면이 뜨다가 접속할 수 없다고 뜸. 이유는 파이어월에서 막아놨기 때문

-> 그럼 다시 우분투환경에서 파이어월을 열어서 category를 network 로 subcategory를 all , application name 을 SSH , >를 눌러서 22번확인하고 add

-> 윈도우즈에서 다시 putty 를 열어서 host name 을 써줌.(세션탭에서 세션하나를 저장한후에 putty 설정에서 글자체나 등등을 바꾸어 저장하면 접속할 때 항상 그렇게 접속 할 수 있음. 

변환탭에서 수신한데이터를 ~~~ 이것을 UTF-8로. 나머지등등) 







** (gedit:2736): WARNING **: Could not load Gedit repository: Typelib file for namespace 'GtkSource', version '3.0' not found 오류 해결

sudo apt-get install gir1.2-gtksource-3.0 쳐서 실행.

'Java & Oracl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ftp 연결, ping day5  (0) 2014.02.21
vi editor day5  (0) 2014.02.21
리눅스 명령어 day4  (0) 2014.02.20
리눅스 명령어 day3  (0) 2014.02.19
윈도8, vmware-ubuntu 설치 day 1,2  (0) 2014.02.18

+ Recent posts